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4

[조선왕릉] 현종과 명성왕후의 '숭릉' 이야기..!! 조선왕릉 : 숭릉(崇陵)숭릉은 구리시에 위치한 동구릉에 다섯 번째로 조성된 조선 18대 왕 현종과 왕비 명성왕후 김 씨의 합장능입니다. 숭릉은 능역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으며 당시의 정치적 삶과 파란만장했던 시대상을 보여줍니다. 숭릉의 역사와 형식현종이 1674년(숙종 1) 8월 18일 34세의 나이로 창덕궁 대조전 양심각에서 승하하자, 태조의 무덤인 건원릉 남서쪽 산줄기에 팔도의 승군 2,650명을 징발하여 능을 조성하였고, 12월 3일 예장하였습니다. 명성왕후가 1683년(숙종 9) 12월 5일 창경궁 저승전 서별당에서 세상을 떠나자 현종 옆에 나란히 명성왕후의 능을 조성하였습니다. 능의 형식은 쌍릉으로 하나의 곡장안에 왕릉과 왕비릉을 나란히 조성하였습니다. 왕과 왕비가 나란히 합장된 형.. 2024. 3. 11.
[조선왕릉]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휘릉' 이야기.!! 휘릉은 구리시 동구릉의 네 번째로 조성된 왕릉으로 인조의 두 번째 왕비 장렬왕후의 능입니다. 조선 후기 왕실의 권력 구도와 장례의식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인조는 조선 16대 왕으로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와 함께 파주시 교하동에 위치한 장릉(長陵)에 묻혀있는데, 독수공방으로 살다가 간 장렬왕후는 죽어서도 왕과 함께 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어린 나이에 인조의 계비가 된 장렬왕후의 생애와 휘릉의 역사 및 조선 16대 왕 인조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장렬왕후의 생애장렬왕후 조 씨는 1624년(인조 2)에 양주인 한원부원군 조창원과 완산부부인 최 씨의 딸로 직산현(지금의 충남 천안) 관아에서 태어났으며, 1635년에 인조의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가 승하하자 삼년상을 마친 후 16.. 2024. 2. 3.
[조선왕릉] 선조와 의인왕후, 인목왕후의 '목릉'이야기..!! [조선왕릉] 이야기, 오늘은 구리시 동구릉에 세 번째로 조성된 조선 14대 왕 선조와 두 왕후의 무덤이 있는 동원삼강릉 형식의 목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릉이 동원삼강릉으로 건립된 경위 1600년에 선조의 비 의인왕후가 승하하자 경기도 포천 신평에 터를 잡고 산릉을 조성하였으나 터가 불길하다는 상소가 올라오자 건원릉 동쪽으로 터를 다시 정하여 산릉을 건립하고 유릉이라 불렀습니다. 1608년에 선조가 승하하자 건원릉 서쪽에 산릉을 조성하고 목릉이라 하였으나, 병풍석이 무너지고 기울어지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생기자 1630년에 선조의 목릉을 유릉의 서남쪽으로 천릉하여 정자각을 하나로 합치고 유릉과 합하여 목릉이라 불렀습니다. 1632년에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가 승하하자 선조의 능침 동남쪽에 안장하고 .. 2024. 1. 21.
[조선왕릉] 문종과 현덕왕후, 현릉 이야기..!! 안녕하세요. GSB(Grandfather Story Blog)의 여니하르방입니다. 오늘은 구리 동구릉의 9개 왕릉 중에서 두 번째로 조성된 '현릉'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이곳은 조선 5대왕 문종과 그의 왕비 현덕왕후가 잠든 곳으로, 짧지만 깊은 인연과 비극이 서려있습니다. 문종, 세종의 장자로 태어난 조선의 첫 적장자 왕문종(文宗, 1414 ~ 1452)은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장남으로 태어나 일찍이 왕세자로 책봉되었습니다. 학문을 즐기고 인품이 온화해 신하들에게 존경을 받았으며, 세종의 곁에서 30년 동안 정사를 보필했습니다. 1450년 왕위에 오른 뒤에는 세종이 닦아놓은 제도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언로를 활짝 열고 백성의 삶을 살피는 정치를 이어갔습니다. 그는 천문과 수학에도 능했는데, 세.. 2023. 12. 28.
[조선왕릉]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이야기 !! ◆ 태조 이성계는 누구인가?1335년(고려 충숙왕 4) 음력 10월 11일에 주촌 환조와 이혜앙후 최 씨의 아들로 화령부 사저에서 태어난 그는 고려 공민왕대에 쌍성총관부를 함락시켜 벼슬길에 올랐고, 1361년(공민왕 10)에 홍건적의 침입 시 공을 세워 공민왕의 총애를 받았습니다, 고려 우왕 즉위 후 명나라에서 철령 이북의 땅을 지배하겠다는 통보를 보내오자 고려 조정에서는 요동을 정벌하여 이를 견제하고자 했고, 최영 중심의 찬성파와 이성계 중심의 반대파가 서로 대립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최영의 주장에 따라 1388년(고려 우왕 14)에 요동 정벌에 합류한 이성계는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반대파를 모두 제거하고, 우왕을 폐위한 뒤 창왕을 옹립했습니다. 이후 정권을 잡은 이성계는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옹립하.. 2023. 12. 20.
[조선왕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구리 동구릉(제193호)..!! 동구릉(東九陵)은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조선 왕실 최대 규모의 왕릉군으로 '동쪽에 있는 9개의 능'이라는 뜻입니다.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이 이곳에 자리 잡은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왕과 왕후의 능을 포함해 총 9개의 능에 17위의 유택이 조성되어 있는 동구릉은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2009년 2월 27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동구릉은 191만 5,891㎡의 아름다운 자연환경 속에 위치하고 있어 국내외 여행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르방 스토리에서는 동구릉의 총괄적인 해설과 역대 왕릉에 관한 이야기를 순차적으로 해 보려고 합니다. ◆ 동구릉의 역사적 평가 및 문화적 의미와 가치- 역사적 평가동구릉은 조선시대 왕릉군 중 가장 많.. 2023. 12. 14.
[건강정보] 여름철 건강 주의보 폭염 속 고혈압 관리..!! 고혈압은 성인 기준으로 140/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하는데, 심장이 수축하여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보낼 때를 수축기 혈압이라 하고 심장이 늘어나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를 확장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의 여러 가지 발병 요인 중에는 유전적인 가족력이 가장 흔하며 노화, 당뇨, 흡연, 비만, 짜게 먹는 습관,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심부전, 동맥경화, 뇌졸증이 발생하거나 신장기능이 악화되어 만성 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고, 눈 망막에도 출혈을 일으켜 시력장애가 생기기도 하는 여러 가지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합니다. 오늘은 아산병원 건강정보를 통해 기립성 저혈압 및 운동관리에 대한 여름철 건강주의보를 알아봅니다. 여름철 건강주의.. 2023. 7. 23.
[건강정보] 위암, 정기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과 식습관 관리 중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 중에서 위암은 국가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1999년 이후 2021년 1월 1일의 기준으로 약 33만 명이 치료 중이거나 완치된 것으로 전체 암 중의 2위였고, 그중 남성 유병자만 21만 7천여 명으로 모든 암종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 위암의 조기 발견과 식습관 관리 중요 ○ 모르고 넘어가거나 오해하기 쉬운 위암 증상 위암은 특별한 초기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나치기 쉽고 다른 위 질환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암의 초기 증세는 매우 경미해서 알아차리기 어렵고 암이 진행되더라도 자각 증상이 없을 수 있으며 종양이 커지면서야 소화불량, 구토, 속 쓰림, 복통, 구역질, 복부 불편감, 흑색변, 토혈, 체중.. 2023. 7. 18.
[건강정보] 만성신장병 혈액투석, 합병증으로 이어져... 초기에 방치하다간 혈액 투석, 합병증으로 이어지는 만성신장병!!당뇨를 비롯한 만성신장병은 성인 7명 중 1명 꼴로 매년 환자수가 늘어나는데, 환자 대부분이 자신이 앓고 있는 병의 원인과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들도 매년 증가한다고 합니다. 콩팥은 80% 이상 손상되어도 자각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혈액투석이 임박한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투석 환자가 급증하는 이유는 자각증상이 없어 초기에 치료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도 있지만, 일찍 발견해도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신장염의 정체와 관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신장염의 정체소변에 거품이 많거나 혈뇨 또는 색깔이 탁하다면 콩팥 손상이 진행된다는 신호이므로 절대 이 시기를 .. 2023. 6. 7.
[건강정보] 숙변의 정체와 발생 원인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건강정보] 숙변의 정체와 발생원인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우리의 생활문화가 디지털화되면서 식생활을 비롯하여 신체적인 활동도 아날로그 시대를 벗어난 것 같습니다.세계적으로 확산되었던 코로나19 팬데믹도 이제 안정적인 추세로 돌아가고 예전의 일상을 되찾을 수 있게 되는 듯합니다.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많은 정보들이 있습니다만, 오늘은 아산병원에서 제공하는 건강정보 중에서 숙변의 정체와 발생원인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숙변의 정체와 발생원인숙변의 정체는 주로 담즙산과 음식물 찌꺼기, 세균 덩어리 등이 결합된 노폐물로 대장주름이나 대장 점막에 방을 형성하여 존재하며 일산화탄소, 스카톨, 황화수소, 암모니아, 인돌, 메탄 등의 독소를 생성하여 장벽을 통해 흡수되고 혈액을 탁하게.. 2023.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