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 이야기, 오늘은 구리시 동구릉에 세 번째로 조성된 조선 14대 왕 선조와 두 왕후의 무덤이 있는 동원삼강릉 형식의 목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릉이 동원삼강릉으로 건립된 경위
1600년에 선조의 비 의인왕후가 승하하자 경기도 포천 신평에 터를 잡고 산릉을 조성하였으나 터가 불길하다는 상소가 올라오자 건원릉 동쪽으로 터를 다시 정하여 산릉을 건립하고 유릉이라 불렀습니다. 1608년에 선조가 승하하자 건원릉 서쪽에 산릉을 조성하고 목릉이라 하였으나, 병풍석이 무너지고 기울어지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생기자 1630년에 선조의 목릉을 유릉의 서남쪽으로 천릉하여 정자각을 하나로 합치고 유릉과 합하여 목릉이라 불렀습니다. 1632년에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가 승하하자 선조의 능침 동남쪽에 안장하고 혜릉이라 하였으며, 세 개의 능을 합하여 목릉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목릉의 형태와 특징
목릉은 선조와 의인왕후, 인목왕후의 세 개의 능침이 하나의 영역에 각각의 언덕으로 조성된 곳으로, 광릉의 정례를 따라 한 골짜기에 왕과 왕후의 능침이 언덕을 달리하여 형성되며, 능침의 중심부에 하나의 정자각을 세우고 재례를 지내도록 정하였습니다. 그 규례에 따라 선조의 능침 앞에 정자각을 정전 3칸에 배위청 2칸으로 세우고, 의인왕후와 인목왕후의 능침에서 신로를 연결하여 한 곳에서 재례를 지내도록 하였습니다.
목릉은 홍살문주에서 정자각까지 이르는 향으로와 정자각에서 각 능침까지 이르는 신로가 구불구불 부정형으로 연결되어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단릉과 비교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조선 14대 왕 선조
선조는 중종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 조와 하동부대부인 정 씨의 셋째 아들로 1552년 11월 11일 한성 인달방에서 태어났습니다. 비는 박응순의 딸 의인왕후이고, 계비는 김제남의 딸 인목왕후입니다. 그는 명종의 사랑을 받으며 성장하자 하성군에 봉해졌으며, 1567년(명종 22)에 명종이 후사가 없이 죽자 왕위에 올랐습니다. 즉위 초년에는 오로지 학문에 정진하여 매일 강연에 나가 정사를 토론하였고, 밤늦도록 독서에 열중하였으며 만년에는 <주역> 읽기를 좋아했습니다.
선조는 조선의 제14대 왕으로 1567년 7월 3일부터 1608년 2월 1일까지 41년간 재위했습니다. 즉위 초부터 사화를 입은 사람들을 신원하고 중용하여 침체된 정국에 활기를 불러일으키려고 노력하였으나 사람들은 파벌로 갈라져 당쟁이 날로 극심해져 국력은 더욱 쇠약해졌습니다. 정여립의 모반 사건과 1592년 임진왜란에 뒤 이은 정유재란으로 나라 전체가 황폐해지는 수난을 겪었습니다. 선조는 개국 이래 내외적으로 가장 혼란한 상황을 맞은 불운의 왕으로 성종과 함께 조선의 대표적인 왕 중의 한 명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선조의 비 의인왕후
본관은 반남 박씨이며 반성부원군 박응순과 전주 이씨 이수갑의 딸입니다. 1569년(선조 2) 왕비로 책봉되어 가례를 치렀으며 성품이 후덕하고 인자하였지만 슬하에 자녀가 없었습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세자였던 광해군과 함께 평양으로 피란하였습니다. 1593년 관군이 한양을 수복하자 한양으로 선조와 함께 가지 못한 의인왕후는 해주에서 묘사와 신주를 모시며 광해군과 함께 머물렀습니다. 1595년(선조 28) 의인왕후의 어머니가 사망하고, 사간원에서 중전의 환도를 청하여 11월 10일 환궁하였습니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수안으로 피란하여 그곳에 머물렀으나 병이 들어 위중하기까지 하였습니다. 1599년(선조 32) 윤 4월에 한양으로 환도하였으나 1600년(선조 33) 6월 27일 경운궁에서 향년 46세로 후사를 출산하지 못하고 승하하였습니다. 선조는 의인왕후가 사망한 후 비망기를 내려 죽음을 추모하고, 시호는 장성휘열정헌경목의인왕후(章聖徽烈貞憲敬穆懿仁王后)이며, 능호는 처음에는 유릉(裕陵)이었다가 나중에 목릉으로 합쳤습니다.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
본관은 연안이며 연흥부원군 김제남과 광산부부인 노 씨의 딸로, 1602년(선조 35) 15세에 선조의 계비가 되어 1603년에 정명공주를 낳고, 1606년에 영창대군을 낳았습니다. 선조가 사망한 후 대비로서 언문지교를 내려 광해군을 왕위에 오르도록 하였습니다. 1613년(광해 5)에 7명의 서자가 영창대군을 옹립하려 하였다는 계측옥사로 영창대군이 유배길에 살해되고, 아버지 김제남과 형제들도 사사되었습니다. 결국 인목왕후는 폐위되어 정명공주와 함께 서궁에 유폐되었습니다. 이는 훗날 광해군에게 폐륜이라는 올가미로 작용하여 인조반정의 명분이 되었습니다.
서궁 유폐 생활 10년이 된 1623년 3월 13일 인조가 반정을 마무리하고 신하를 보내 즉위 승인을 요청하였으나 인목왕후는 즉시 응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인조가 직접 서궁으로 가서 승인을 간청하자 비로소 광해군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약속받고 어보를 내주었습니다. 인목왕후는 직접 인조를 서궁에서 즉위하게 하였고. 창덕궁이 아닌 서궁에서 즉위가 이루어진 것은 인목왕후가 대비권을 행사하려는 의지로 인한 것이었습니다. 1632년 8월 13일 인경궁 흠명전에서 향년 47세로 승하하였습니다. 시호는 소성정의명렬광숙장정인목왕후(昭聖貞懿明烈光淑莊定仁穆王后)이고, 능호는 혜릉(惠陵)이었다가 목릉으로 합쳐 부르게 되었습니다.
인목왕후는 대왕대비로 복권된 후 가끔 국정에 관심을 표명하며 한글로 교서를 내리기도 하였습니다. 해서체로 쓴 족자인 <인목왕후어필칠언시>와 금강산 유점사에 친필로 쓴 <보문경>의 일부가 전해지고 있으며, 인목왕후필적첩이 남아 있습니다.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족자는 경기도 안산시 죽산면 칠장사에 보존되어 있으며 2010년 1월 4일 보물 제627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왕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조선왕릉] 현종과 명성왕후의 '숭릉' 이야기..!! (0) | 2024.03.11 |
|---|---|
| [조선왕릉]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휘릉' 이야기.!! (0) | 2024.02.03 |
| [조선왕릉] 문종과 현덕왕후, 현릉 이야기..!! (0) | 2023.12.28 |
| [조선왕릉]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이야기 !! (0) | 2023.12.20 |
| [조선왕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구리 동구릉(제193호)..!! (0)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