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왕조 이야기30

[조선왕릉] 조선 18대 왕 현종과 왕비 명성왕후의 '숭릉' 이야기..!! 조선왕릉 이야기 : 숭릉(崇陵)숭릉은 구리시에 위치한 동구릉(건원릉, 현릉, 목릉, 휘릉, 숭릉, 혜릉, 원릉, 수릉, 경릉)의 다섯 번째로 조성된 조선 18대 왕 현종과 왕비 명성왕후 김 씨의 합장능입니다. 숭릉은 동구릉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으며 당시의 정치적 삶과 파란만장했던 시대상을 보여줍니다. 숭릉의 역사와 형식현종은 1674년(숙종 1) 8월 18일 34세의 나이로 창덕궁 대조전 양심각에서 승하하였다. 태조의 무덤인 건원릉 남서쪽 산줄기에 팔도의 승군 2,650명을 징발하여 능을 조성하였고, 12월 3일 예장하였다. 명성왕후가 1683년(숙종 9) 12월 5일 창경궁 저승 전 서별당에서 세상을 떠나자 현종 옆에 나란히 명성왕후의 능을 조성하였다. 능의 형식은 쌍릉으로 하나의 곡장안.. 2024. 3. 11.
[조선왕릉] 조선 16대 왕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휘릉' 이야기.!! 휘릉은 구리시 동구릉의 네 번째로 조성된 왕릉으로 인조의 두 번째 왕비 장렬왕후의 능입니다. 조선 후기 왕실의 권력 구도와 장례의식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인조는 조선 16대 왕으로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와 함께 파주시 교하동에 위치한 장릉(長陵)에 묻혀있는데, 독수공방으로 살다가 간 장렬왕후는 죽어서도 왕과 함께 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어린 나이에 인조의 계비가 된 장렬왕후의 생애와 휘릉의 역사 및 조선 16대 왕 인조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장렬왕후의 생애장렬왕후 조 씨는 1624년(인조 2)에 양주인 한원부원군 조창원과 완산부부인 최 씨의 딸로 직산현(지금의 충남 천안) 관아에서 태어났으며, 1635년에 인조의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가 승하하자 삼년상을 마친 후 163.. 2024. 2. 3.
[조선왕릉] 조선 14대 왕 선조와 의인왕후, 인목왕후의 '목릉'이야기..!! [조선왕릉] 이야기, 오늘은 구리시 동구릉에 세 번째로 조성된 조선 14대 왕 선조와 두 왕후의 무덤이 있는 동원삼강릉 형식의 목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릉이 동원삼강릉으로 건립된 경위 1600년에 선조의 비 의인왕후가 승하하자 경기도 포천 신평에 터를 잡고 산릉을 조성하였으나 터가 불길하다는 상소가 올라오자 건원릉 동쪽으로 터를 다시 정하여 산릉을 건립하고 유릉이라 불렀다. 1608년에 선조가 승하하자 건원릉 서쪽에 산릉을 조성하고 목릉이라 하였으나, 병풍석이 무너지고 기울어지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생기자 1630년에 선조의 목릉을 유릉의 서남쪽으로 천릉하여 정자각을 하나로 합치고 유릉과 합하여 목릉이라 불렀다. 1632년에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가 승하하자 선조의 능침 동남쪽에 안장하고 혜릉이라.. 2024. 1. 21.
[조선왕릉] 조선 5대 왕 문종과 현덕왕후 '현릉' 이야기..!! 안녕하세요. GSB(Grandfather Story Blog)의 주인장 여니하르방입니다. 조선왕릉에 대한 오늘의 이야기는 구리 동구릉의 9개 왕릉 중에서 두 번째 왕릉인 조선 5대왕 문종과 현덕왕후의 '현릉'에 얽힌 이야기입니다.문종은 세종과 소헌왕후의 맏아들로 태어나 7세의 나이에 왕세자로 책봉되어 30년 간 세종을 보필하다가 37세에 왕위에 올랐지만, 2년 4개월 만인 39세에 병사하고, 어린 세자 단종이 즉위하게 되는 가슴아린 사연으로 연결됩니다. 조선 5대왕 문종과 현덕왕후 문종의 이름은 향(珦)이며, 호는 휘지(輝之)이다. 1414년 10월 3일 세종과 소헌왕후의 장자로 태어나 1421년 7세에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1450년 조선 5대 왕위에 오른 문종은 조선 건국 이래 최초로 적장자가 .. 2023. 12. 28.
[조선왕릉] 구리 동구릉의 역사적 배경과 태조 이성계 건원릉 이야기 !! 안녕하세요! 하르방의 스토리 블로그(Grandfather's Story Blog)입니다.조선왕릉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역대 왕들의 무덤에 얽힌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조선을 건국한 초대 임금인 태조 이성계의 무덤은 경기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의 9개 능묘 중 하나입니다. 구리 동구릉은 9개의 능묘가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조선시대의 왕릉군으로 역사적 배경 및 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동구릉의 역사적 배경 및 문화적 의미와 가치1. 동구릉의 역사적 배경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동구릉은 1408년(태종 8) 초대 임금인 태조가 승하하자 이곳에 장래를 지내고 건원릉이라 이름하였다.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총 9개의 왕릉이 조성되었으며 이곳을 왕릉으로 택지 한 사람은 .. 2023. 12. 20.
[조선왕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구리 동구릉(제193호)..!! 동구릉(東九陵)은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조선 왕실 최대 규모의 왕릉군으로 '동쪽에 있는 9개의 능'이라는 뜻입니다.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이 이곳에 자리 잡은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왕과 왕후의 능을 포함해 총 9개의 능에 17위의 유택이 조성되어 있는 동구릉은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2009년 2월 27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동구릉은 191만 5,891㎡의 아름다운 자연환경 속에 위치하고 있어 국내외 여행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르방 스토리에서는 동구릉의 총괄적인 해설과 역대 왕릉에 관한 이야기를 순차적으로 해 볼까 합니다. ◆ 동구릉의 역사적 배경 및 문화적 의미와 가치- 동구릉의 역사적 배경동구릉은 조선시대 왕릉군 중 가.. 2023. 12. 14.